본문 바로가기

ISSUE

왜? 노르웨이 기상청이 검색 순위 1위? 국내 기상청 보다 정확한 노르웨이 기상청 / 유용한 세계 기상청 날씨 어플 추천

왜 노르웨이 기상청이 검색 순위 1위?

오락가락하는 날씨 덕분에 낭패를 당한 적 많으시죠? 비가 잔뜩 쏟아진다는 일기예보 때문에 출근길에 장우산을 가지고 나갔다가 하루 종일 쨍하고 해 뜬 맑은 날씨 때문에 가지고 나온 우산이 천덕꾸러기가 된다던가, 낮에 잠깐 소나기가 지나간다는 일기예보에 우산을 챙기지 않았는데 하루 종일 비가 내려 곤란했던 일들을 한 번씩 겪어보셨을 겁니다. 일기예보는 그날그날의 약속과 계획, 생활 패턴뿐만 아니라, 그날의 OOTD까지 영향을 주기 때문에 그 정확도가 굉장히 중요합니다. 그러나 기상청의 오보는 어제오늘 일이 아니죠?

 

최근에는 검색어에 노르웨이 기상청이 상위에 랭크되어 '노르웨이 기상청? 이게 무슨일인가?' 하셨을 분들이 많았을 겁니다. 국내 기상청에 대한 불신이 쌓인 데다가 노르웨이, 핀란드, 미국, 영국 등 해외 기상청의 정확도가 높다는 입소문이 나면서 우리나라 일기예보보다 해외 기상청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일기예보를 찾아보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고 합니다. 따라서 최근 '노르웨이 기상청'이 검색 순위 1위를 기록하기도 했습니다.

 

구체적으로 살펴 보면 기상청은 9일 오후 9시 서울에서 비가 내릴 확률이 80%, 예상 강수량은 40-69mm일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반면 노르웨이 기상 앱 'YR'은 9일 오후 9시 서울의 예상 강수량이 2mm라고 예보를 했는데요, 국내 기상청보다 노르웨이 기상청의 예보가 더 정확했던 것입니다. 실제 9일 오후 9시 서울에는 비가 거의 오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해외 기상청의 예보가 더 정확한 이유

해외 기상청의 일기예보가 국내 기상청의 일기예보보다 정확했던 이유는 몇 가지가 있습니다. 국내 기상청의 경우 천리안 위성 2A호에서 받는 자료를 토대로 일기예보를 구성하는 반면에, 해외의 경우 에컨대 체코는 유럽연합(EU) 기상 위성인 EUMETSAT이 관측한 자료를 활용합니다. 게다가 국내 기상청은 강수량 자료를 6시간 단위로 예보하는 반면, 체코의 윈디나 노르웨이의 YR은 1시간 단위로 예상 강수량을 예보해줍니다. 따라서 구조상 해외 기상청의 예보가 더 정확할 수밖에 없는 것 같습니다. (그렇다고 우리나라 기상청의 예보를 불신한다는 것은 아닙니다. 좀 더 정확한 일기예보를 위해 노르웨이 기상청과 같은 해외 기상청의 자료를 참고하면 더 좋겠다는 것입니다.)

 

 

 

 

해외 날씨 어플

아래의 화면은 노르웨이 날씨 어플 'YR'과 체코 날씨 어플 'Windy', 그리고 미국 날씨 어플 'Accu Weather'의 실제 화면을 나타낸 것입니다. 제가 사용해 본 결과 노르웨이 날씨 어플인 'YR'이 무료 어플이면서도 정확하고 자세하게 잘 설명되어 있는 것 같습니다. 나머지 체코 날씨 어플 'Windy'와 미국 날씨 어플 'Accu Weather'은 광고가 붙어서 유료 결제를 해야 좀 더 편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아직 장마가 계속 이어지고 있고, 올해는 10월까지 태풍이 올 수 있다다고 하는데,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을 것 같네요.

 

 

 

게다가 태풍의 영향이 높을 때, 실시간으로 태풍의 위치를 알려주는 유용한 사이트가 있어 알려드립니다. 많은 분들이 아실 법도 한 유명한 사이트인데요, 해당 사이트는 많은 언론에서도 참고 자료로 쓰고 있는 것이라 그 신뢰도가 높은 사이트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바로 earth.nullschool.net 이라는 사이트 인데요, 아래 링크를 첨보해 놓겠습니다. 참고해주시면 되겠습니다.

 

http://earth.nullschool.net/

 

earth :: a global map of wind, weather, and ocean conditions

See current wind, weather, ocean, and pollution conditions, as forecast by supercomputers, on an interactive animated map. Updated every three hours.

earth.nullschool.net